![]() |
신장, 체중, 비만도, 허리둘레, 혈압 등 |
---|---|
![]() |
혈액형, 불규칙항체(RH인자), 빈혈, 혈소판감소증, 당뇨, 간기능, 고지혈 등을 검사하여 임신합병증을 예방 |
![]() |
요도염, 신우신염, 신장병 등 |
![]() |
흉부방사선촬영 |
![]() |
세포진 검사, 경부확대촬영검사, 인유두종 바이러스 검사 등 |
![]() |
자궁과 난소의 이상도를 진단하여 포상기태, 자궁 외 임신 등의 병적 임신 가능성을 조기에 발견 |
![]() 간기능 검사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가임기 여성의 약 5%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보이는데, 임신 중독증, 태반 박리증, 심장기능 장애, 저체중아, 사산의 위험이 증가 |
![]() |
임질은 패혈성 자연유산, 인공유산 후 감염, 조기분만, 융모양막염, 산욕기감염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음 |
![]() |
클라미디아는 주산기 사망, 자궁내태아감염, 조산, 조기양막파수, 산후 자궁내막염, 신생아의 안결막염과 폐렴을 일으킬 수 있음 |
![]() |
임신 중 태아에 선천성 감염을 일으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풍진, 거대세포바이러스,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대한 검사 |
![]() |
마이코플라즈마, 유레아플라즈마 세균검사 |